일요일, 4월 2, 2023
Home Windows JMeter stepping thread group 부하테스트 설정

JMeter stepping thread group 부하테스트 설정

JMeter stepping thread group 부하테스트 설정

운영체제 : 윈도우10
버전 : apache jmeter 5.1.1 

1. Stepping thread group Plugin 다운로드 및 설치

참조: https://jmeter-plugins.org/wiki/SteppingThreadGroup/

다운로드 : https://jmeter-plugins.org/files/packages/jpgc-casutg-2.9.zip

다운로드 받으신 zip화일을  압축해제후 디렉토리의 (C:\sw\apache-jmeter-5.1) lib에 복사합니다.

JMeter 를 재실행하신후 stepping thread group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2.Stepping thread group 부하테스트 설정하기

10초 간격으로 10명 사용자를 생성하며 최대 100 명 까지 사용자(thread )를 생성후

이상태를 60 초동안 유지하다가 10초 간격으로 10 명씩 사용자(thread )를 제거하도록 설정합니다.

  • User Defined Variables 추가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Stepping Thread Group를 추가합니다.

  • Stepping Thread Group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 this group will start ] 총 몇개의 Thread를 발생할것인가
  • [ Next, add ] 몇개씩 더해질것인가
  • [ threads every ] 몇초후에 더해질것인가
  • [ using ramp-up ] Next add되는 데 걸리는 시간
  • [ Then hold load for ] 몇초동안 최대 Thread를 유지할것인가
  • [ Finally, stop ] 몇개씩 Thread를 줄일것인가
  • [ threads every ] 몇초간격으로 줄일것인가

  • Active Threads Over Time 추가합니다.

  • Active Threads Over Time 결과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Time limit is exhausted. Please reload the CAPTCHA.

최신글

에픽게임즈 – Dandara: Trials of Fear Edition

억압받으며 종말의 위기에 처한 기이한 세계에서 Dandara는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깨어났습니다. 신비한 생물과 끝없는...

인기글

Tvheadend 4.4.20171030 로그인 문제 해결방법

Tvheadend 4.4.20171030 로그인 문제 해결방법 tvheadend-testing 4.4.20170707-3 를 설치하게 되면 sc-media 라는 그룹이 생성됨. 아래와 같이 tvheadend 로그인 사용자를 sc-media 그룹에 추가 permission 수정 chown -R sc-tvheadend:tvheadend-testing /var/packages/tvheadend-testing vi...

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 갱신하기

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 갱신하기 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는 3개월단위로 인증서가 발급됩니다. 매번 체크해서 인증서를 갱신할기보다는 Crontab에 등록하여 3개월마다 갱신되게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생성후 crontab에 등록하는...

x470 128gb Ram Support Motherboard

Asrock Rack X470D4U 제품이 BIOS 업데이트로 MAX Memory 128G 지원가능한듯 합니다. X470 에서 128GB RAM 를 지원하는 최초의 X470 Motherboard 인듯합니다. 조만간 32G RAM 구하게 되면...

원격데스크톱RDP 접속정보Log 삭제

원격데스크톱RDP 접속정보Log 삭제 첫번째로 Default.rdp 파일을 지우면 됩니다. 두번째로 아래와같이 접속기록이 남아있는데요. 접속기록은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해서 삭제가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Terminal Server ClientDefault 의 값과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Terminal Server ClientServers의 해당 값을 삭제해주시면...